'에쿠스 자전거'보다 '포니 자전거'가 필요하다.
흑백테레비
·2009. 5. 6. 00:48
언론 보도에 따르면 지난 3일 이명박 대통령은 "우리는 지금 자전거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자전거 타기 운동이 전개돼 5년안에 3대 생산국가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요즘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대표적인 모델로 자전거를 선택해서 계속해서 밀고 있다.
해안과 4대강 주변에 1조가 넘는 돈을 투자해 자전거 길을 만들겠다고 한다. 하드웨어적인 면과 함께 자전거 보험과 자전거 축전등으로 국민들에게 자전거 타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가 캠페인을 안해도 요즘 주위에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하거나 레저용으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이 많이 늘고 있다. 자전거길도 부족하고 교통의식도 부족해 위험하지만 건강을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이 자전거를 타고 집을 나서고 있다.
정부는 외국의 벤츠나 샤넬 브랜드의 자전거처럼 고급브랜드의 명품 자전거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한다. 각종 통계수치를 인용해 국산 제품이 2만여대 밖에 안되고 대부분 수입에 의존한다고 은근히 국산제품의 개발의 필요성을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다들 알고 계실 거다. 수입제품의 대부분은 국내 브랜드들의 OEM 제품들이란 것을 말이다. 왜 중국에서 자전거를 생산해서 수입하고 있을까? 국내에서 생산하면 수지가 안맞기 때문이다. CEO 출신 대통령이 이걸 왜 모를까?
예전에 수입김치가 국산보다 많다고 언론에서 김치도 이제 수입을 한다고 호들갑을 떨었다. 하지만 중국에서 그 김치를 만드는 사람들 대부분 한국사람이다. 자전거도 수입이라고 해도 한국 업체가 만들어서 수입하는 것이다. 시장경제를 그렇게 좋아하는 사람들이 시장경제의 원리를 모르는 것일까?
정부도 이런 비난을 의식했는지 이젠 '에쿠스 자전거'등 고급 자전거를 만들겠다고 한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대표적인 반대 산업인 자동차 생산업체에 녹색 자전거를 만들게 한다는 것부터 웃기지만 벤츠도 생산하고 있으니 변명거린 있다. 시작부터 고급브랜드 자전거로 고부가가치 시장을 노린다고 한다. 하지만 기초도 없는 산업전략이 과연 세계시장에서 통할까 의문이다. 일본과 독일이 고급 자전거 시장에서 선전하는 이유는 부품 기술이 높기 때문이다. 기어나 브레이크 등은 어김없이 일본 제품이다.
미국산 쇠고기는 싸고 질좋다며 홍보할때가 1년전이다. 자전거도 싸고 질좋다면 수입하면 되지 않나? 자전거 산업을 지원할려면 '에쿠스'같은 재벌 브랜드 말고 중소기업을 키우는게 옳지 않을까? 이젠 자전거 산업까지 재벌들이 참여를 해야 하는 것일까?
'자전거 타기운동'과 '녹색성장' 모두 다 좋다. 우리 사회가 적극 추진해야 할 정책들이다. 하지만 인구의 반이 모여사는 도시에는 자전거를 전혀 탈수 없는 환경인데 해안선을 따라 자전거 길을 만든들 누가 타겠는가? 4대강 살린답시고 환경을 파괴하는등의 이중적 행태가 바로 잡히지 않는 이상 이명박 정부의 자전거타기는 '삽질'을 감추기 위한 쑈일 뿐이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에쿠스 자전거'가 아니다. 저렴하고 튼튼한 자전거가 필요하다. 에쿠스나 제네시스 자전거 같은 소수만 탈 수 있는 자전거 개발이 아니라 '포니 자전거'나 '마티즈 자전거'같은 국민 자전거 개발이 더 필요하지 않을까?
해안과 4대강 주변에 1조가 넘는 돈을 투자해 자전거 길을 만들겠다고 한다. 하드웨어적인 면과 함께 자전거 보험과 자전거 축전등으로 국민들에게 자전거 타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가 캠페인을 안해도 요즘 주위에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하거나 레저용으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이 많이 늘고 있다. 자전거길도 부족하고 교통의식도 부족해 위험하지만 건강을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이 자전거를 타고 집을 나서고 있다.
정부는 외국의 벤츠나 샤넬 브랜드의 자전거처럼 고급브랜드의 명품 자전거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한다. 각종 통계수치를 인용해 국산 제품이 2만여대 밖에 안되고 대부분 수입에 의존한다고 은근히 국산제품의 개발의 필요성을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다들 알고 계실 거다. 수입제품의 대부분은 국내 브랜드들의 OEM 제품들이란 것을 말이다. 왜 중국에서 자전거를 생산해서 수입하고 있을까? 국내에서 생산하면 수지가 안맞기 때문이다. CEO 출신 대통령이 이걸 왜 모를까?
예전에 수입김치가 국산보다 많다고 언론에서 김치도 이제 수입을 한다고 호들갑을 떨었다. 하지만 중국에서 그 김치를 만드는 사람들 대부분 한국사람이다. 자전거도 수입이라고 해도 한국 업체가 만들어서 수입하는 것이다. 시장경제를 그렇게 좋아하는 사람들이 시장경제의 원리를 모르는 것일까?
정부도 이런 비난을 의식했는지 이젠 '에쿠스 자전거'등 고급 자전거를 만들겠다고 한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대표적인 반대 산업인 자동차 생산업체에 녹색 자전거를 만들게 한다는 것부터 웃기지만 벤츠도 생산하고 있으니 변명거린 있다. 시작부터 고급브랜드 자전거로 고부가가치 시장을 노린다고 한다. 하지만 기초도 없는 산업전략이 과연 세계시장에서 통할까 의문이다. 일본과 독일이 고급 자전거 시장에서 선전하는 이유는 부품 기술이 높기 때문이다. 기어나 브레이크 등은 어김없이 일본 제품이다.
미국산 쇠고기는 싸고 질좋다며 홍보할때가 1년전이다. 자전거도 싸고 질좋다면 수입하면 되지 않나? 자전거 산업을 지원할려면 '에쿠스'같은 재벌 브랜드 말고 중소기업을 키우는게 옳지 않을까? 이젠 자전거 산업까지 재벌들이 참여를 해야 하는 것일까?
'자전거 타기운동'과 '녹색성장' 모두 다 좋다. 우리 사회가 적극 추진해야 할 정책들이다. 하지만 인구의 반이 모여사는 도시에는 자전거를 전혀 탈수 없는 환경인데 해안선을 따라 자전거 길을 만든들 누가 타겠는가? 4대강 살린답시고 환경을 파괴하는등의 이중적 행태가 바로 잡히지 않는 이상 이명박 정부의 자전거타기는 '삽질'을 감추기 위한 쑈일 뿐이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에쿠스 자전거'가 아니다. 저렴하고 튼튼한 자전거가 필요하다. 에쿠스나 제네시스 자전거 같은 소수만 탈 수 있는 자전거 개발이 아니라 '포니 자전거'나 '마티즈 자전거'같은 국민 자전거 개발이 더 필요하지 않을까?
'비판적 시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인운하에 간 이명박 대통령 (3) | 2009.05.07 |
---|---|
한나라당 '인력소개소' 개소 (4) | 2009.05.06 |
'에쿠스 자전거'보다 '포니 자전거'가 필요하다. (26) | 2009.05.06 |
대한민국의 어린이 여러분 행복하나요? (14) | 2009.05.05 |
프로야구에서 애국가를 연주하지 말자 (16) | 2009.05.03 |
한나라당은 정말 완패했을까? (27) | 2009.04.30 |
2009.05.06 01:03
고급 자전거 시장에서 선전하는 메이커는 이태리죠.... ^^;
시마노와 같은 일본 부품업계가 성공한 이유는 표준화된 부품라인의 개발로 였지만 아직 유럽쪽 메이커들는 잘 쓰지 않고요, 기본적으로 국산 자전거의 고품질화 혹은 고급화는 어쩔 수 없는 길이라고 봅니다. 왜냐하면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대만, 중국에게 이길 수 없는 것은 사실이거든요. 인프라나 여러 부분에서 자전거 산업은 우리나라가 뒤집니다. 결국 현재 소수의 중소 기업쪽이 나아갈 길은 정말로 고급화를 해서 일본, 이태리 메이커화 할 수 밖에 없죠...
zzzz
2009.05.06 07:25
자전거여야만 하는 이유는 대운하랑 매치가 되기 때문이지요.
운하 주변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내어
온국민이 자전거나 운하 유람선을 타고 지나가면서 가카를 찬양하는 미래야말로
가카를 사로잡는 꿈이며
가카로 하여금 그어떤 비판에도 꿈적도 않고 광속으로 역주행하게 만드는 원동력이거든요.
2009.05.06 14:53
옳소~~!!!!
저게 저게 뭐하는 짓인가... 싶기도 합니다.
진짜.. 웃기고 자빠졌네.. 라는 소리만 나오는~~ (남에 집에와서,, 맨날 한다는 소리가~ 죄송요~;;;)
정신 차리고, 제발~~좀!!
2009.05.06 16:58
이명박 정권의 정책을 찬성하는건 아니지만, 에쿠스 자전거 포니 자전거 자체의 얘기는 적합하지가 않습니다.
자전거는 지금도 국내에서 생산하면 생산원가가 도저히 나오지 않아서 중국에서 거의 모든 제품을 들여오고 조립하고 있죠. 애초에 국내 자전거 산업을 '저가형'으로 육성한다는거 자체가 불가능해요. 국내에서 만드는 부분이 더 많아질수록 가격은 지금에서 올라갈수밖에 없으니까.. 그리고 유사MTB자전거들 가격이 10~15만원 사이로 솔직히 절대 비싸지 않은 가격이라고 생각하고 타는데 전혀 문제도 없고,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좀더 괜찮은것들도 30만원수준이라 굳이 포니 자전거를 더 개발할 필요는 없지 싶네요.. 개발할수 있는 상황도 안되고..
2009.05.06 18:20 신고
고급 브랜드를 육성해서 성공한다고 해도(기존의 제품들을 밀어낼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이지만)
그 시장이 그렇게 클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오랜 기간 쌓아온 노하우로 만들어진 제품들을 단기간의 개발로 따라 잡겠다란 생각 자체가 문제이죠~
명텐도도 그렇고 자전거 발언만 해도 '이거 괜찮은데 만들어봐' 하면 그냥 손쉽게 만들어진다고 생각하는것 같습니다 ㅡㅡ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05.07 04:34
그냥 현재 있는 자전거를 현 도심에서 탈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조금만 운전습관을 개선하면 여기 캐나다처럼 자건거와 자동차가 도로를 사이좋게 Share하는 도로문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나중에 한번 관련내용을 포스팅하고 트랙픽을 걸겠습니다^^
asiale
2009.05.07 09:27
90년대에 국내자전거 메이커들이 포니자전거에 올인했다가 값싼중국산에 개털린거...모르나?
글쓴이는 mb보다도 못하구나..
안영환
2009.05.08 15:03
대부분의 수입 자전거들이 국내 브랜드가 중국에 oem을 맡긴거라고 하신거 같은데;
제가 길을 다니며 보기에는 그보다 진짜 외국 브랜드가 더 많은거 같던데요;
물론 그 브랜드들도 외국에 oem을 주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은...
그리고 자전거의 핵심은 완성차를 조립하는 회사가 아니라,
말씀하신대로 각 부품들 - 구동계, 프레임, 휠셋, 조향부 등 (한 자전거에만 수십, 수백의 부품이 들어가더라구요)
을 만드는 회사입니다.
중국산 묻지마 부품들은 어디서 나오는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에 사용되는 부품들은 구동계만 하더라고 미국스램, 일본시마노, 이탈리아의 캄파놀로가 주축이되서
이 세가지가 거의 대부분인듯 해요.
이 세 회사는 보급형부터 선수/경기용까지 라인업을 갖추고 생산을하죠.
이중에 중급정도 되는 부품만으로 자전거를 조립해도 족히 100만원은 넘어갑니다.
그런데 이 구동계 뿐 아니라 어떤 부분에서도 한국 메이커는 보이지 않습니다.
삼천리라고 해도 시마노 기어를 쓰거든요.
저는 이부분에 거품빠지고 품질 좋은 국산메이커가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자전거를 자주 타는 사람으로서 mb의 정책은 어찌되었건 잘 됐으면 하는 바램이구요.
마을이장님
2009.06.01 11:09
저도 에쿠스자전거보다는 마티즈, 베르나, 아반테, 클릭, 쏘울, 포르테 등등 중소형중심으로 명명하고 가격대비 탄탄한 구성으로 개발한다면 국민들도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고, 수출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