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선거와 SNS 열풍

흑백테레비

·

2012. 1. 16. 18:16

선거철이 다가왔다. 4월엔 총선 연말에는 대선을 치르는 해이다. 총선과 대선을 함께 치르는 것은 20년만이다. 그 만큼 정국은 혼란스럽고 변화도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어느곳 하나 당선 예측을 하기가 힘들 정도이다. 여당은 여당대로 야당은 야당대로 안정적인 지역구가 없다. 여당은 연이은 비리와 사건들로 국민들이 눈을 돌렸고, 야당은 통합 문제로 골치가 아프다. 정국이 혼란스러워지면서 선거에 임하는 후보들도 중심을 못잡고 왔다갔다 하는 모습들이 보인다.

특히 이번 선거는 그 어느때와는 다르게 SNS라는 것이 크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선거에 출마하려는 후보들은 누구나 트위터 또는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열심히 얼굴을 알리고 있다. 물론 후보가 직접하는 캠프도 있고 알바를 고용해서 소통없는 소통을 하는 후보도 있다. 불과 2~3년전만 해도 먼나라 이야기 같던 SNS가 최근 사회적 문제 해결에서 큰 위력을 발휘하면서 후보들도 너나 할것없이 SNS 선거전략을 세우기 바쁘다. 얼마전 한나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이 터졌다. 돈봉투 사건은 우리나라 정치의 후진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대한민국 정당들은 고비용 저효율의 대표적인 구조이다. 국회의원들은 공기업 국정감사때마다 여야할것 없이 효율적인 운영을 요구하지만 정작 자신들은 저효율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때문에 SNS는 잘만 활용하면 돈 안드는 선거를 할 수 있는 아주 훌륭한 도구이다. 후보자가 큰 돈을 들이지 않고도 유권자와 직접 소통할 수 있다. 또한 유권자들도 예전 같으면 할수 없었던 이야기들을 직접 할수 있는 것이 SNS다. 하지만 후보자들의 이해가 높지 않은 상황에서 SNS를 통한 소통 붐이 일면서 SNS 선거에도 돈이 들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SNS는 훌륭한 선거운동 방법이긴 하지만 수도권을 제외하면 사실상 선거에서 아직까지는 그리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시골지역의 후보도 SNS를 통한 선거운동에 많은 인원과 비용을 쓰고 있는 경우도 있다. 과연 그것이 합리적일까? 의문이 들기도 한다. 아무리 SNS가 소통의 도구로 인기를 받고 있고 대세라고 하지만 지역의 실정에 맞게 활용해야지 60~70대 노인이 대부분인 시골에서 과연 SNS로 주민들과 소통할 수 있을까는 연구해봐야 할 것이다.

선거철을 맞이해 브로커들도 판을 치고 있다. 모바일 홈페이지 구축에 많게는 200만원 적게는 50만원을 요구하는 업체도 있고, SNS 컨설팅이라며 수천만원을 받는 업체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대통령 선거나 전국적인 주목을 받는 주요지역의 후보가 아닌 이상 지역구 국회의원이 수백수천만원을 들여 모바일 홈페이지를 만들고, SNS를 할 필요가 있을까? 티스토리에서는 모바일 홈페이지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고, SNS는 후보가 직접 해야 신뢰도도 높고, 현장감도 있다.

진정한 소통과 유권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는 후보들이 많은 것 같다. 부디, 쓸데 없는데 돈을 쓰는 후보들이 많지 않았으면 좋겠다. 정신없고 멍청한 후보들 돈 떼먹는 업체들을 조심하기 바란다.